명품 브랜드? 이제는 입지 말고, 내가 명품이 되자 며칠 전 경복궁에서 열린 럭셔리 브랜드 구찌가 패션쇼 이후 인근 건물에서 늦은 밤까지 음악 소음과 현란한 조명을 외부로 쏘아대는 파티를 열어 구설수에 올랐습니다. 인근 주택가의 주민들이 잠을 자지 못하여 신고한 건수가 무려 52건이나 접수되고 경찰이 출동하는 사태까지 발생했습니다. 브랜드는 명품일지 몰라도 자기들만의 파티로 주변 사람들을 배려하지 않는 독단적이고 오만한 태도는 너무나 저급이었습니다. 지난 4월에는 루이비통이 서울 잠수교 밑에서 패션쇼를 열며 24시간 차량과 자전거, 도보이용을 통제하여 시민들이 불편을 겪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왜 유독 이렇게 작은 나라인 한국에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들이 앞 다투어 들어와 패션쇼를 열며, 최근 들어 열렬히 한국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을까요? 이유는 최근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K팝, K컬처 등 한류의 영향이 아시아권을 넘어 글로벌 전역으로 퍼지고 있기 때문에 K컬처와 패션쇼를 어떻게든 연관시키려고 애쓰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한국 연예인들을 동원해 브랜드를 홍보하고, SNS를 통해 사람들의 과시욕을 부추기며 말입니다.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
3대를 통해 돌아보는 군대 이야기 지난 4월 11일은 우리 가족에게 조금 특별한 날이었습니다. 첫째 아들의 전역 날이자, 동시에 둘째의 훈련소 퇴소식이 있는 날이었으니까요. 그래서 저와 아내는 군포에서, 전역하는 첫째 아들은 여수에서 출발해 둘째의 퇴소식이 있는 논산에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재밌게도 논산은 군포와 여수에서 직선거리로 거의 동일한 거리의 중간에 위치해 있답니다. 그리고 여기에 이날의 특별함을 더해 주는 작은 사실 하나가 있는데, 그것은 30년 전 제가 입대해 훈련을 받았던 곳이 바로 논산훈련소라는 것이죠. 둘째 아들이 저의 훈련소 후배가 된 것인데, 제가 후반기 훈련을 받았던 곳이 아들의 퇴소식이 열리는 장소였죠. 거기다 아들이 5주간 훈련받은 연무대(논산훈련소를 부르는 다른 명칭) 안을 둘러보며, 그곳에서의 저의 군 생활이 새록새록 기억나 아들과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지요. 그러면서 30년 전 나의 군 생활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1993년의 나 우스개 소리로 여자들이 가장 듣기 싫어하는 이야기가 있는데, 3위는 ‘군대 이야기’이고, 2위는 ‘축구 이야기’, 대망의 1위는 ‘군대에서 축구한 이야기’라고 합니다. 하지만
[한현석의 야생초 이야기 18] 앵초 (Primula sieboldii) 봄이 온 것 같더니 봄을 느끼기도 전에 쏜살같이 지나가 버린 듯합니다. 한낮에는 더위로 등줄기에 땀이 흐르고 있으니 말이죠. 하지만 지나간 봄의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추운 겨울이 지나고 나면 길가에 줄지어 늘어선 벚나무에 흰 벚꽃이 피어납니다. 이 꽃은 며칠 만에 눈처럼 흰 꽃잎을 흩날리게 됩니다. 꽃비가 내리면 여인들의 마음도 들뜨게 되는 것 같습니다. 꽃비가 그치고 나면 봄기운이 가득해지고 산과 들의 나무와 풀들도 기지개를 켜고 봄맞이에 열을 올리게 됩니다. 이때가 되면 산의 물가 주변이나 계곡의 습기가 머무는 장소에 무리 지어 피어나는 야생화가 있으니 그것을 우리는 ‘앵초’라고 부릅니다. 앵초의 꽃 색은 분홍색으로 새색시들의 연분홍 치마가 생각나는 색상입니다. 앵초는 이렇게 봄이면 우리 곁에 찾아들어 설레임을 안겨주는 야생화입니다만, 실물을 산에서 만나거나 자생하는 모습을 찾아가거나 앵초를 알고 있는 경우는 드문 듯 합니다. 그 이유라면 봄이라고 하지만 산야에는 차가운 바람이 휘몰아치고 있기 때문에 이런 계절에 산속에 앵초꽃이 폈을 것이란 생각을 하지 않기 때문인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