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 연구자와 현대사 연구자가 한국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 여러분은 한국사의 어느 시대에 관심이 많으신가요? 시대에 대한 관심이 서로 다르면 전체 한국사를 보는 시각도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고조선을 비롯한 고대사에 관심이 많다면, 한국의 전 역사를 바라볼 때 어느 시기에 주목할까요? 반대로 대한민국을 비롯한 현대사에 관심이 많다면 한국의 전 역사를 바라볼 때 어느 시기를 주목할까요? 현대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오늘의 민주공화국 체제의 시작과 연원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1948년 대한민국정부수립,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은 당연하지만 무엇보다 1919년 3.1 혁명에 주목할 것입니다. 3.1 혁명의 영향으로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탄생되었으니까요. 3.1 혁명 이후 40여일 만에 ‘제국’이 아닌 ‘민국’이 건립될 수 있었던 여건은 이미 1917년 ‘대동단결선언’에서 보여주는 공화제의 흐름이 있었습니다. ‘대동단결선언’에서는 1910년은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것이 아니라 황제권이 소멸된 것이고 민권이 새로 생긴 날이라고 본 것입니다. 현대사의 관점에서는 대동단결선언 ⤏ 3.1혁명 ⤏ 대한민국임시정부 ⤏ 대한민국
우산 속 한가위 몽키호테 홀연히 세찬 빗줄기 아침 내내 어둡게 돌아온 빠알간 추석 쳐진 마음 부풀게 보름달 보이지 않아 가슴 가득 아쉽게 그 너머 별빛 하나가 소망되어 힘차게
박제된 만정 김소희의 ‘심청가’ 따님(박윤초)이 보시기에 어머니(김소희) 목소리의 정점은 언제셨나요? “저는 50~60대로 봐요. 고음과 저음을 힘 안 들이고 낼 수 있으셨고 꺾을 데는 분명히 꺾고 떨 데는 떨어서 소리를 낼 줄 아셨어요. 아무리 어려운 기교도 힘없이 발휘하는데 그 무렵 어머니가 ‘심청가’를 완판 녹음하셨죠.”(중앙일보 인터뷰 중) “이 대목이 좋으면, 이 스토리가 좋으면 따서 당신 것으로 삼으셨어요. 각각의 특징을 소화해서 자기화한 것이죠. 어느 ‘소리제’만을 따르면 어느 대목에선 따라 부르기 어렵지만 만정의 목소리는 둘 다 가능했어요. 그래서 만정의 제자(성창순) 중에는 이런 말을 하는 이가 있어요. ‘만정제’를 하면 동편제, 서편제는 싱거워 못 한다고…” - 양원석 고문 판소리의 자존심, 국창이라 불렸던 김소희 명창 88 서울올림픽의 폐막식을 기억하는 이들은 ‘떠나가는 배’의 소리를 맡았던 작고 단아한 만정 김소희 명창을 기억할 것이다. 판소리의 자존심, 국창이라 불렸던 김소희 명창이 타계하신지 올해로 30년. 세월이 흘러 지금은 그가 가르친 안숙선, 신영희 명창 등 후학들의 소리 속에, 또 오래된 옛 자료들 속에서 그 분의 흔적을, 그
‘이민 300만 시대’ 상호 통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설계할 때 한국 사회가 이제 더 이상 ‘단일민족’ 신화에 갇혀 있을 수 없는 ‘이민 300만 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결혼이민자 중심의 ‘다문화가족’ 정책을 넘어, 이제는 ‘국가 성장 전략으로서의 이민 정책과 전면적인 사회통합 패러다임’을 논해야 할 때이다. 새 정부의 국정과제가 산재해 있지만 지금이야말로 현재의 이슈를 해결하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본다. 1. 시급한 현안: '단기 체류자'를 위한 사회통합 정책의 부재 현재 한국의 다문화 및 사회통합 정책은 주로 결혼이민자와 국적 취득 희망자 등 ‘정주형 이주민’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실제 국내 체류 외국인의 대다수는 이주노동자, 유학생 등 체류 기한이 정해져 있는 ‘단기 체류자’이다. 이들은 우리 사회의 필수적인 노동력을 제공하며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육을 포함한 사회통합 프로그램(KIIP) 접근성이 제한적이거나 농어업에 종사하는 외국인의 경우 아예 배제되어 있기도 하다. 이는 단기적인 인력 수급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