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바지 무더위를 달래는 향기 – 네롤리 이야기 여름의 끝자락, 지친 몸과 마음을 부드럽게 감싸는 향이 있습니다. 바로 네롤리(Neroli) 에센셜오일이죠. 네롤리는 오렌지나무의 순백의 꽃에서 증류해 얻는 귀한 아로마 오일입니다. 하나의 오렌지나무에서 얻어지는 에센셜오일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잎과 가지에서 추출하는 패티그레인(Petitgrain), 껍질에서 얻는 상큼한 오렌지 스윗(Orange Sweet), 그리고 꽃에서 피어나는 우아한 향의 네롤리(Neroli). 각각의 오일은 서로 다른 향과 효능을 지니며, 특히 네롤리는 고급스러운 플로럴 시트러스 향으로 ‘귀족의 향기’라 불린답니다. 왕비가 사랑한 향, 네롤리 네롤리라는 이름은 17세기 네롤리 공화국의 왕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왕비는 오렌지꽃 향을 사랑해 장갑, 목욕물, 의복 곳곳에 이 향을 스며들게 했다고 합니다. 그 부드럽고 매혹적인 향은 왕비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고, 그녀가 이 향을 꾸준히 즐겨 회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죠. 심지어 그녀가 70세에 이르렀을 때, 50대의 폴란드 국왕으로부터 청혼을 받았다는 신화 같은 일화까지 남아 있습니다. 이 이야기가 사실이든 아니든, 네롤리의 향이 얼마나
누린내풀 (Tripora divaricata) 무더위에 지친 날의 연속이지만 절기가 바뀌고 한밤중은 조금 시원한 맛이 느껴지는 듯합니다. 이렇게 무더위의 힘이 살짝 빠질 무렵이 되면 산야에는 예쁜 보라색의 꽃이 피어납니다. 예전에는 흔하게 볼 수 있었는데 요즘은 발품을 팔고 돌아다녀야 겨우 볼 수 있는 꽃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자생 분포는 전국적이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찾는다면 아마도 예쁜 꽃을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누린내풀은 꽃술이 둥글게 휘어진 것이 미용실에서 고데기를 이용하여 멋부린듯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색상도 누구나 좋아할 보라색입니다. 이 멋진 모습에 현혹되어 줄기를 자르거나 꽃을 만지면 심한 누린내를 풍겨 꽃에서 멀리 떨어지고 가까이 할 생각을 하지 않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누린내풀을 관상용으로 기르는 경우가 없습니다. 누린내풀은 어쩐 일로 이런 냄새를 풍기게 되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보면 볼수록 그 모습은 아름답고 예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누린내풀의 꽃말은 ‘내 이름을 기억하세요’라고 합니다. 아마도 누린내풀 실물을 만난 경우 누구나 한 번쯤은 꽃을 들여다보려고 줄기를 잡고 코끝으로 당기게 될 것이고 강력
‘문제행동은 구조의 신호’ ‘문제행동은 구조의 신호’라는 《공부 상처》(저자 김현수) 선생님 말씀을 현장에서는 종종 잊는다. 마음이 가지 않고, 문제행동 때문에 상처받는 탓에 방어하기 바쁘니 여유가 없어서다. 그날은 모처럼 선생님 말씀을 되새겨보자고 다짐하고 일과를 시작했다. 교실에서 외톨이로 떨어져 있어 이미 공지된 수행평가 날짜를 본인만 모르는 여학생이 있었다. 《이기적 유전자》 원서를 책상 위에 펴놓고는 졸기 일쑤인 아이였다. 선생님들과 계속 다투고 끝내는 언짢게 돌아가서 교무실에서는 위험 학생으로 점찍고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아이는 4교시 수업 전 찾아와 보건실에 가서 누워있겠다고 확인을 받으러 왔다. 알겠다고 하고 수업을 들어가면서 후문을 보니 닌자처럼 담을 넘는다. 5교시는 부담임 임장지도(현장수업)라 수업에 들어가니 허겁지겁 아이가 자리에 앉으면서 휴우 부채질을 한다. 마치 안 들키고 무사히 들어온 것에 자축하듯이. 복도로 불러 담 넘은 이유를 묻고 그동안 관찰했던 이야기를 전하면서 이런저런 당부를 했다. 아이들과 어울리고 싶지 않다는 이야기부터 생리통이 심하다는 이야기까지 그저 변명을 일관하는 말뿐이었다. 초반에는 노력하다가도 조금만 시들
제주도! “돌고래야~ 굿모닝!” 전 세계적인 관광명소이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제주도! 올해 8월 말경, 2박3일의 짧은 가족여행을 다녀왔습니다. 2년 전부터 회사일로 제주도를 내 집처럼 왔다 갔다 하며 비행기를 마치 버스처럼 타고 다니는 둘째 여동생이 당연 모든 여행 일정을 책임지기로 했죠. 협재, 중문해수욕장, 여러 관광지, 제주도 토속 맛집 등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산방산 근처 바다가 훤히 보이는 숙소 앞에서 연이틀 아침 일출을 볼 수 있었습니다. 둘째 날, 어스름 아침 수평선 너머의 눈부신 햇빛과 윤슬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바다의 잔잔한 일렁거림, 저 멀리 점처럼 보이는 배들의 움직임을 가만히 응시하고 있었죠. 그때 갑자기 셋째가 “언니! 저기 봐봐 뭐가 뛰어! 뭐지?” 가족들 모두 셋째가 말한 그 지점에 눈을 고정했는데... 와~~ 돌고래 떼였습니다. 처음에는 한 마리인줄 알았는데 제일 앞에서 리드하는 대장 돌고래의 뒤를 쭈~욱 다른 돌고래 떼들이 따라가지 않겠습니까? 진짜 TV 다큐멘터리나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나 볼 수 있는 광경이 우리들 눈앞에 펼쳐졌습니다. 곧이어 갑자기 무리 떼 중 한 마리가 공중으로 붕 떠서 자신의 몸을 뽐내고 다시 바다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