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 연구자와 현대사 연구자가 한국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 여러분은 한국사의 어느 시대에 관심이 많으신가요? 시대에 대한 관심이 서로 다르면 전체 한국사를 보는 시각도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고조선을 비롯한 고대사에 관심이 많다면, 한국의 전 역사를 바라볼 때 어느 시기에 주목할까요? 반대로 대한민국을 비롯한 현대사에 관심이 많다면 한국의 전 역사를 바라볼 때 어느 시기를 주목할까요? 현대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오늘의 민주공화국 체제의 시작과 연원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1948년 대한민국정부수립,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은 당연하지만 무엇보다 1919년 3.1 혁명에 주목할 것입니다. 3.1 혁명의 영향으로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탄생되었으니까요. 3.1 혁명 이후 40여일 만에 ‘제국’이 아닌 ‘민국’이 건립될 수 있었던 여건은 이미 1917년 ‘대동단결선언’에서 보여주는 공화제의 흐름이 있었습니다. ‘대동단결선언’에서는 1910년은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것이 아니라 황제권이 소멸된 것이고 민권이 새로 생긴 날이라고 본 것입니다. 현대사의 관점에서는 대동단결선언 ⤏ 3.1혁명 ⤏ 대한민국임시정부 ⤏ 대한민국
								[조경철의 한국사칼럼 37] 원나라의 등장과 고조선, 일본의 등장과 대한제국 《삼국유사》에 나오는 고조선은 단군이 세운 조선을 말합니다. 대부분 이성계의 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고’를 붙였다고 알고 있지만 실은 기자조선 또는 위만조선보다 앞서 세워졌다고 해서 ‘고’를 붙인 것입니다. 또 ‘古(고)’에는 오래되었다는 뜻 말고 ‘고전(古典)’이나 ‘상고주의(尙古主義)’의 ‘고’처럼 ‘이상적인’이란 의미도 갖고 있답니다. 우리나라의 첫 나라이면서 이상적인 국가라는 의미의 ‘고조선’이란 나라 이름이 생기게 된 배경은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관련이 있습니다. 바로 중국의 송나라가 멸망하고 이민족인 몽골(원)이 새로운 중국의 주인으로 바뀌어 가는 시기였습니다. 고려의 입장에선 예전에 요나라와 금나라의 침략과 압력을 받았지만 그래도 중국의 주인은 여전히 송나라였습니다. 따라서 한족의 송나라가 멸망하고 이민족의 몽골이 중국을 지배하는 새로운 시대적 상황은 지금까지 고려가 겪어보지 못한 것이었답니다. 우리는 흔히 일연의 《삼국유사》가 몽골의 침략에 저항하기 위해 편찬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을 언급하고 단군신화를 실은 이유도 원에 대한 저항정신을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