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절대 따라할 수 없는 따뜻한 나눔 2020년 11월 30일 chat GPT가 처음 공개된 이후로 AI의 발전 속도는 감히 상상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Claude, Gemini, Poe, V0, Genspark, Consensus, Firefly, Gamma AI, Cursor...이런 AI 서비스들을 들어보셨나요?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 유럽도 각자 AI 산업의 독립성을 강조하며 각국의 정부 역시 AI기업의 서비스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최근에 나온 MCP는 현재 기업의 대부분을 맡길 수 있을 정도입니다. MCP로 업무를 처리하고, 로봇으로 일하고, 로봇과 IoT에서 모은 정보는 다시 MCP에서 처리하면 정말로 일할 사람이 필요없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 현실이 되고 있죠. 그렇다면 AI가 우리의 모든 것을 다 대체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우리는 이걸 그냥 바라만 보아야 하나요? 현재 2025년의 대한민국은 역대 최악의 산불로 인해 사망 31명을 포함한 82명의 인명피해와 7천 명에 가까운 이재민의 발생, 주택 3,400여 채, 농·축·수산시설 2,100여 개소, 국가유산피해 30건의 재산피해, 그리고 산림이 다시 완전 복원되는데
당신은 나의 동반자? 회사에서 AI(인공지능) 사용은 이제 필수입니다. AI를 맹신하지는 않지만 귀찮은 일이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순 업무같은 경우, 아르바이트생에게 일을 주듯 AI 직원의 도움을 받아서 일의 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고객 상담의 경우에도 AI 챗봇(chat bot)에게 글자로 상담하는 것을 넘어 AI 음성 챗봇도 많이 등장하고 있어 우리의 삶에서 알게 모르게 AI를 접하는 일은 일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친구인 척하는 AI가 사용자 인식에 실제 영향을 미친다는 구글 딥마인드 연구팀의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AI시스템이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할수록 사용자의 패턴을 읽어서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듯한 행동과 사용자의 의견과 경험을 인정하는 것 같은 행동을 많이 하면서 사용자가 AI 시스템 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개인정보를 공유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AI시스템에 부적절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증가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스스로의 윤리적 판단력을 높여야 합니다. AI가 정말 동반자일까? 바로 이런 위험한 일들이 미국에서 먼저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것도 아직은 판단능력이 미숙한 청소년들에게 말이죠. ‘캐릭터.ai’는 가
넌 날 뭘보고 믿니?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파파고 번역기, 자율주행, 스마트홈 AI 가전 등 이미 우리 실생활속에 AI는 깊숙이 자리잡아버렸습니다. 더 나아가 AI 아나운서, AI 가수, AI 콜센터직원 등 우리의 직업까지도 AI로 대체되기 시작했으며 지난해 10월에 발표된 노벨 물리학상과 노벨 화학상이 모두 AI 분야 연구자들에게 수상된 것을 고려했을 때, AI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이 크다는 것은 더욱더 확실해지고 있습니다. AI, 과연 믿을 수 있나? 오픈AI의 chatGPT, MS의 Copilot, 구글의 Gemini, 그리고 최근 혜성처럼 등장한 딥시크까지 다양한 생성형 AI들의 춘추전국시대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AI와 대화를 해보셨나요? 저는 회사에서 업무에 도움을 받고자 chatGPT를 자주 사용하는데, 최근 기술이 포함된 질문을 할 경우 사실과 다른 정보를 사실인양 대답해줄 때가 있어서 오히려 시간을 더 낭비할때가 종종 있습니다. 일명 할루시네이션이라고 하는 AI의 거짓말인거죠. 차라리 모르면 모른다고 솔직하게 말하면 제가 다른 방법으로 찾아볼텐데 괜히 거짓말을 해서 안 물어보느니만 못한 시간낭비를 한 셈입니다. 제가 한번은 화가나서 왜 거
비상뇌없령을 선포한다! 비상! 외장형 뇌 작동불능! 지난 12월 어느날 아침. 여느 때와 다름없이 출근 후 업무를 하려고 chat gpt를 실행했는데 아무런 응답이 없었습니다. 갑자기 먹통이 된거죠. 프로그램 개발의 단순업무나 새로운 기술을 기존 시스템에 접목하기 위해 chat gpt를 정말 많이 사용하고 있던 우리 개발팀은 “헐! 외장형 뇌가 작동을 안하다니... 큰일났다! 비상뇌없령을 선포한다!” 하며 다들 멘붕에 빠졌습니다. * 비상뇌없령 - 뇌가 없는 비상상태임을 명령함 기기 없는 인간은 바보? 우리 손에 있는 스마트폰이 없어진다면? 당장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지도, 어딘가로 길을 찾아갈 수도 없을 것입니다. 예전에는 당연히 집과 가족들 전화번호는 외우고 있었고, 자주 찾아가는 길은 지도 없이도 갈 수 있었는데 말이죠. 기술이 발전할수록 우리의 생활은 편해지지만 우리는 점점 더 바보가 되어가고 있는건 아닐까요? 쇼츠, 릴스 등의 원인모를 알고리즘에 나를 맡겨버린 채 속절없이 흘러가는 시간을 나중에 깨닫는 경우가 점점 잦아지는 지금, 이제는 기기는 잠들고 우리 뇌는 깨워야 할 때입니다. 잠드는 기계 – 디지털 쉼표! IT의 선봉장이라 할 수 있는 빌게이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