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격 숲을 멀리서 바라보고 있을 때는 몰랐다 나무와 나무가 모여 어깨와 어깨를 대고 숲을 이루는 줄 알았다 나무와 나무 사이 넓거나 좁은 간격이 있다는 걸 생각하지 못했다 벌어질 대로 최대한 벌어진, 한데 붙으면 도저히 안 되는, 기어이 떨어져 서 있어야 하는, 나무와 나무 사이 그 간격과 간격이 모여 울울창창鬱鬱蒼蒼 숲을 이룬다는 것을 산불이 휩쓸고 지나간 숲에 들어가 보고서야 알았다 - 안도현 -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45호>에 실려 있습니다.
								화가 리까르도와의 만남, 그림의 고정관념 알에서 깨어나다 그네 타는 후안. 1992. 유화(100x100cm) 지난 8월의 어느 날, 친구이자 화가 Ricardo를 만났다. 리까르도가 그린 그림을 내가 ‘Dibujo’라고 말하는 버릇이 있다며 ‘Pintura’라고 말해야 한다고 여러 번 교정시켜주었다. 그러니까 ‘삔뚜라’는 그림(페인팅, 회화)이고 ‘디부호’는 데생(드로잉, 소묘)이라는거다. 도화지나 천에 선으로 그린 그림이나 수채화 물감, 유화 물감으로 그린 그림을 나는 그동안 ‘Dibujo’(데생)라고 부른 셈이었으니, 교양 떨어지는 인간이 되고만 셈이었다. 다시 말하자면 화가 리까르도는 단호하면서도 끈질기게 자기가 그린 유화들을 내가 ‘디부호’라고 지칭할 때 마다 ‘삔뚜라’라고 부르라며 집요하게 교정시켜주었다는 얘기다. 까다롭게 군다고 빈정 상했다가 정신을 가다듬고 생각을 해보니 일반인이라고 하더라도 전문가나 예술가를 친구로 두려면 적절한 교양을 갖추지 않고서는 관계유지가 되질 않겠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갖게 되었다. 물론 전에도 비슷한 경험이 한번 있었다. 사진가 박진호씨를 다큐멘터리사진가로 지칭한 적이 있었는데 순수사진예술가라고 불러야 한다고 분명하게
								매 발 톱 매발톱이라니? 이런 살벌 망칙한 꽃 이름 같으니라구 근데~~~ 한 색깔만 있는 줄 알았는데… 비웃듯 보라, 자주, 분홍으로 화려함을 뽐낸다 난 화려한 색깔로 변신한 매발톱을 그릴란다 하니 왜? 발톱을 그려요? 성민의 갸우뚱 매. 발. 톱. 그 날카로운 이름으로 세상을 준엄하게 내려다보며 나에게 말을 건네기 때문이지 한 번 피다지는 봄꽃보다 못 한 인간 같으니라구 너는? - 김 하 선 -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52호>에 실려 있습니다
								경 포 호 거울 호수 둘레길을 걷는다. 천혜의 아름다움으로 감성을 품고 있는 곳 사임당, 허난설헌의 숨결이 깃 들여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시에 능하고, 글씨도 그림도 빼어났던 조선을 대표하는 여류 화가 사임당 불행한 짧은 생애를 깊은 시심을 토해내며 살아냈던 조선 최고의 시인 허난설헌 둘레길을 걷는 내내 이들과의 대화는 아쉬움을 머금은 채 이어졌고 볼거리 먹거리 넘쳐나는 곳 되어 오늘을 가볍게 살아가는 우리를 돌아보게 한다. - 조현선 -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52호>에 실려 있습니다.
								고요 달빛마저 숨어버린 캄캄한 어둠 속 발자욱 내디딜 곳 찾아 웅크린 채 더듬더듬 간간히 들려오는 풀벌레 소리 고개 들어보니 하나 두울 그제야 들어오는 별빛 긴꼬리 남기며 날아가는 저 끝자락엔 아스라이 다가오는 붉은 새벽 - 이송아 -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52호>에 실려 있습니다.
								야구 짜증날 때 야구배트 잡고 탁! 치면 기분이 좋다 야구공을 내 마음만큼 힘껏 슈~웅 던진다 저~기 있는 야구공을 보고 바람처럼 뛴다 씨~잉 야구를 하다보면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른다 - 변성민(초5) -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52호>에 실려 있습니다.
								엘 시스테마 군포 ‘춤추는 콘서트’ ‘음악으로 세상이 변할 수 있을까요?’ “엘 시스테마(El Sistema)가 무슨 뜻이죠?” 만나는 분들에게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 저는 질문에 답하기 전에 이렇게 되묻습니다. “음악으로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왜냐하면 이 질문의 답이 ‘엘 시스테마’이기 때문이죠. 엘 시스테마는 베네수엘라의 국립음악교육재단을 일컫는 말입니다. 마약과 총기에 노출된 채로 범죄에 길들여진 달동네 빈민가의 청소년들이 ‘엘 시스테마’의 악기교육을 통해 음악에서 희망을 찾게 되었습니다. 이들의 손에는 총이나 마약 대신 악기가 들려져 있었고 하루 종일 악기 연주시간을 기다렸답니다. 악기연주는 즐거운 놀이와 같았죠. 오케스트라의 인원수는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고 이들의 변화는 개인에서 가정, 사회로 점차 확대 되어갔습니다. 엘 시스테마는 남미의 베네수엘라를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죠. 군포시 마을 만들기 사업에 선정 되다 음악을 통해 청소년들을 깨우고 변화시켜가고자 하는 엘 시스테마의 꿈을 갖게 된 것은 12년 전의 일이었어요. 그 시기에 유치원생과 초등저학년 아이들에게 악기를 가르치게 되었고 5~6년 지속되다 중단되었습니다. 음악뿐
								부 추 와 참 새 부추가 얼마나 푸르고 멋있었으면 참새 한 마리가 열린 차창 너머로 날아와 하우스 철봉에 앉을까? 부추가 얼마나 재미난 이야기를 해줬길래 참새가 저리 기분이 좋아 날개를 파닥거리며 짹재그르 친구를 부르는 걸까? - 나선명 -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52호>에 실려 있습니다.
								병원이 필요 없네 - 고경명 한 치 앞 모니터만 보다 울긋 솟은 치악산 산봉우리를 바라보니 목이 쭈~욱 늘어난다. “높을 곳을 바라보세요 그래야 거북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의사 선생님 말이 절로 실천된다. 탁 트인 강릉 바다를 바라보니 눈이 다 시원하다 고해상도 4K 모니터도 담아내지 못하는 이 청량함과 시원함 “멀리 봐야 시력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처~얼썩 하얀 가운 입은 파도가 바로 그! 명의(名醫)네. 아침마다 시달리던 복통에 소화제를 달고 살았던 나 “모든 병의 원인은 스트레스죠. 너무 예민하시네요.” 단골 병원 의사 선생님도 없는데 싸~악 사라진 복통 시골에 오니 병원이 필요 없네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52호>에 실려 있습니다.
								항해 김송희 앉아 있는 자리를 털고 일어서서 나는 짐을 싼다 머뭇거리다가 우왕좌왕하다가 안개가 가득한 바다 한 가운데서 나는 싼 짐을 들쳐 메고 침묵 속 착착 움직이는 영국해군에게 배워 새로 나타나는 거친 파도 미지의 항로라도 착착착 바로, 항해를 시작한다 나를 비추는 등대는 항상 그 자리에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52호>에 실려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