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N번째 직업은? 평균퇴직나이 49.4세 2024년 보험개발원이 국내 생명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우리나라 여성과 남성의 평균수명은 각각 90.7세, 86.3세입니다. 하지만 통계청의 '2023년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평균 퇴직 나이는 49.4세에 불과합니다. 이미 평생직장은 아버지, 할아버지 세대의 단어가 되어버린지 오래며, 이젠 평생직장이 아닌 평생직업이라는 말조차 무색해져가고 있습니다. 나의 세 번째 직업 IT 프로그래머, 그 다음은? 저는 20세기 말에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와 이제 곧 50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백세시대의 절반을 살고, 후반전을 눈앞에 두고 있죠. 대학교에서 컴퓨터를 전공했지만 초,중등 아이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일을 하며 20대를 보낸 것이 저의 첫 번째 직업이었습니다. 그러다 전자출판을 위한 1인기업의 사장을 거쳐, 현재는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직업인 지금의 일을 30대 중반에 바닥부터 다시 시작했을 때를 지금 돌이켜보면 그야말로 좌충우돌이었습니다. 20대 빠릿한 친구들과 경쟁하기 위해 남들보다 늦게 시작했으니 더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에 프로그래머라면 누구나
장수의 비결, 우리가 해야 하는 노력들은 과연 무엇일까? 조선일보 25.1.22 장수의 비결 100세 시대라는 말이 등장한지는 꽤 되었습니다. 실제로 80대과 90대를 넘어 100세 이상의 나이대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바로 옆에 계신 저희 친 할머니는 1922년생으로 올해 만 103세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장수의 비결로 박남철 전남대학교 연구석좌 교수는 유전적인 요인이 30%, 나머지 70%가 생활 습관과 환경요인이라는 사실을 강조했습니다. 5년 전 거동이 불편해서 요양원에 들어가시기 전까지 할머니 생활 습관의 특징들을 돌이켜 보면, 항상 해가 떨어지는 초저녁에 주무시고, 새벽에 일어나시는 것, 일어나면 뒹굴뒹굴 하는 것이 아니라, 몸을 움직여 주방일, 청소 등 본인이 할 수 있는 일들을 하는 것, 그 후엔 노인정으로 한결같이 출타해서 친구들과 함께 화투도 치고, 점심도 같이 드시고, 5시 경 집으로 돌아오셨지요. 그리고 식사는 소량, 고기보다 야채, 나물 반찬을 주로 드신 것, 식사시간이 항상 일정했던 것 등이 생각이 납니다. 요양원에 입소해서도 앞치마 접기, 옆 할머니들에게 간식 나누어 주기 등, 신체 활동과 사회활동을 꾸준히 하신